펌 은 언제부터 했을까?

2023. 1. 20. 17:47미용역사,이론

728x90
반응형

퍼머넨트 웨이브 이론

모발 종류는 직모와 파상모로 나눌 수 있다. 직모를 파상모로 파상모를 직모로 영구히 변화시키는 방법을 케미컬 헤어 스타일이라 한다.

 

파마의 기초 이론

 직모에 반응하는 웨이브 펌은 탄력적이며 지속력이 있는 웨이브(펌)를 형성하며 파상모에 반응하는 스트레이트 펌 또한 유동성 있는 모발 형태를 유지시킨다.

 

헤어 웨이브의 역사

기원전 3000년경 고대 이집트 나일강 유역의 알칼리 토양을 모발에 도포 후 이를 나무봉에 감아(래핑) 했빛에 말려 웨이브를 만든 것이 퍼머넌트 웨이브의 기원이 되었다.

 

[일시적 웨이브의 역사 : 세발하거나 수증기를 쐬면 풀어지는 결점이 있는 일시적 웨이브는 그리스, 로마 시대에 불로 데운 철 막대기를 이용하여 웨이브를 만들었다. 이후 컬리 아이론을 이용한 컬이나 고수 형태인 링렛 스타일인 마셀 웨이브가 1930년대 후반까지 미용사라는 직업을 의미하는 기술의 대명사가 되었다.

 

◆ 펌의 종류 ◆

1) 머신펌 : 전기나 수증기의 열을 전열기기로 발생시키는 것과 함께 웨이브로션이 사용되었다. 

 

2) 머신리스 펌 : 1932년 사르토리에 의해 특수 금속의 히팅 클럽과 특수 용제의 화학작용(석회의 수화열을 이용)에 의해 발열되는 것을 이용한 웨이브 펌이 고안되었다. 이는 웨이브 로션(제1제)의 개발을 촉진하였다.

 

3) 콜드 펌 : 

● 1936년 영국의 J.B. 스피크먼은  상온에서 웨이브 펌을 형성시켰다.

● 콜드 웨이브란 약한 염기성 용액을 모발에 사용함으로써 실온(18+-2도시)에서 쉽게 모발 구조를 변화시킨다. 과거 전열기기 용제 등의 열에 반응히는 열펌에 대응하여 실온 또는 상온이라는 개념으로 사용된다. 

 

★ 1욕법 : 제1제(환원제)로 구성되며 2제(산화제)는 사용하지 않는다. 즉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자연산화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웨이브 펌이 형성된다.

★ 2욕법 : 1제와 2제로 구성되며 환원되고 산화되는 방식에 의해 웨이브 펌이 형성된다.

★ 3욕법 : 1제는 와인딩 전용액이며 2제는 환원제 3제는 산화제로 구성된다.

 

[콜드 웨이브제]

ⓐ 콜드 웨이브의 원리로써  1욕법, 2욕법, 3욕법이 적용되었다.

ⓑ 1제는 환원제로서 모발 시스틴을 환원시켜 절단(개열)시킨다.

ⓒ 2제는 산화제로서 환원 절단된 시스틴을 산화시킨다.

 

● 1940년경 티오글리콜산 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으로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고 있다

● 2000년대 현재 설펜산과 시스테아민, 티오 유산 등의 환원제가 화장품 규정에 등록되고 있다.

 

4) 축모 (스트레이트) 펌 

1940년대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모발을 교정하는 펌제가 사용되어 왔다.

● 1960~1970년대 후반 : 미국 사회에 만연한 인종 특유의 펌 시장이 형성되었다.

아프로 캐리비안 축모를 가진 미국인의 곱슬 모발에 주로 적용하였다.

● 1980~1990년대 :  1980년 중반 다갈색의 점토 상태(밀가루나 갈분가루를 웨이브 로션에 혼합)인 축모교정제를 모발에 바르고 플라스틱 판넬을 이용하여 모다발에 붙여 모발을 폈다.

1980년대 후반~19990년대 초반  두발을 곱게 펴는 크림 타입 펌제가 실용화되 프레서를 이용한 새로운 압착 기기가 사용되었다.

● 2000년대~현재 

파상 모발을 간단히 펼 수 있으며 모다발 끝에 C컬 형성이 가능하도록 발열판이 곡면 형태인 프레서가 개발되었다. 또한 모발 개선제의 거듭된 발전은 손상 모발의 재생과 함께 직모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만든다.

 

[tlp] 스트레이트 제품 : 축모교정 시술에 의한 모발의 건조함과 곱슬한 파상 모양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반영된 일상적인 손질로써 컬 활성제인 글리세린을 기반으로 한 헤어스프레이와 로션의 사용을 가져다주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